2008. 2. 23.

[Economist] 1/31 Aggressive activism

American interest rates

미국 금리

Aggressive activism
적극적인 개입주의



Jan 31st 2008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The Fed writes a new economic script
연방준비이사회는 새로운 경제대본을 쓰고 있다.




NO ONE could accuse America's policymakers of standing pat as the economy flirts with recession. Congress is close to passing a fiscal-stimulus package worth just over 1% of GDP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passed its version at $146 billion on January 29th). And the Federal Reserve is loosening the monetary reins at the fastest pace in decades.



미국의 정책입안자들이 고수하고 있는 정책을 경제를 침체로 몰아간다고 비난할 수는 없었다. 미의회는 조만간 GDP의 1퍼센트가 넘는 규모의 재정확대정책안을 통과시킬 것이다.(하원은 1,460억달러 지출안을 1월 29일 통과시켰다.) 또한 연준은 최근들어 가장 빠른 속도로 통화줄을 느슨하게 풀고 있다



On January 30th America's central bank cut its policy rate by half a percentage point to 3%, little more than a week after slashing that rate by 0.75 percentage points in an unscheduled meeting. Official short-term rates have now fallen by 2.25 percentage points since the credit turmoil stemming from American mortgages began last August. With underlying inflation running at well over 2%, real rates are now barely positive. In a matter of days, American monetary policy has gone from broadly neutral to clearly loose. Gone is the incremental approach to altering interest rates. Instead there is a new Bernanke boldness.



1월 30일 미국의 중앙은행은 정책금리를 3%까지 0.5퍼센트 인하했다. 지난번 계획에 없는 회의를 소집하여 0.75%를 인하하는 특단을 취한지 1주일이 약간 더 지났을뿐이다. 작년 8월에 시작된 미국 모기지 사태로 신용위기가 촉발된 이 후 단기정책금리는 현재 2.25%까지 떨어졌다. 근원물가상승률이 2%를 넘어서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질금리는 현재 가까스로 0을 넘은 상태이다. 요근래 미국의 통화정책은 확실히 중립적인 태도에서 명백하게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변했다. 변했다고 하는 것은 이자율을 변동하는 쪽으로 선회했음을 의미한다. 거기에는 배짱을 부리는 새로운 버냉키가 있다.



The central bankers justify this shift on two grounds. First, evidence is mounting that the economy has weakened dramatically, making looser monetary conditions appropriate even though underlying inflation remains high. Second, Fed officials believe that the turmoil in financial markets, particularly the tightening of credit conditions, raises the probability of a nasty downturn. By acting quickly and boldly, the central bankers want to minimise the risk of such a calamity.



중앙은행 관계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두가지 근거를 들어 정당화하고 있다. 첫째, 근원물가상승률이 상승추세일지라도 통화여건을 느슨하게 풀어 놓고 있는 것은 경기가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금융시장의 혼란, 특히 신용여건의 위축이 급격하게 경기가 하락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믿고 있다. 중앙은행 관계자들은 일을 신속하고 대담하게 처리함으로써 이번 사태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There is little doubt that the economy has slowed sharply. According to initial estimates published on January 30th, output grew at an annual rate of only 0.6% in the last three months of 2007 (see article). News from the housing market grows ever gloomier. The pace of home sales is still falling; the inventories of unsold homes are rising and prices are plunging. According to the S&P/Case-Shiller index based on 20 big American cities, average house prices fell by 8% in the year to November. Prices fell in every city in the last month. Retail-sales figures suggest consumers are growing more cautious, and December's surprise jump in the jobless rate raised alarm about the labour market.



경기가 급격히 수축하고 있다는 의견에는 논란의 여지가 거의 없다. 1월 30일 발표된 추정치에 따르면 생산량은 지난 2007년 4/4분기동안 0.6%증가하는데 그쳤다. 주택시장관 관련된 소식들은 더욱 암울하다. 주택판매 추세는 여전히 하락세이다. 판매되지 않은 주택의 재고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격은 곤두박질 치고 있다. 미국내 20여개 주요도시를 대상으로 하는 S&P/Case-Shiller 지수에 따르면 평균주택가격은 11월까지 8%하락했다. 또한 지난 한달 동안 미국 전역에서 주택가격이 하락했다. 소매지수로 볼 때 소비자들은 구매에 더욱 신중을 기하는 것으로 보이며 지난 12월 실업율지수가 크게 뛰어 오름으로써 노동시장에도 경각심을 일으키고 있다.



But not all indicators point to disaster. Orders for durable goods and a private payroll report were surprisingly good. That suggests the Fed's boldness is driven more by policymakers' second rationale, that of reducing the risk of a negative spiral from financial markets to the economy. Hence the decision to slash rates on January 22nd, in response to a global sell-off. Strikingly, the Fed statement on January 30th mentioned “stress” in financial markets before discussing the economy. In a doveish text, the central bankers left no doubt that they were most worried about the downside risks and would act in a “timely manner” to address them.



그러나 모든 경기지표가 재앙을 의미하고 있지는 않다. 내구재 주문량과 개인사업자 부문은 상당히 좋다. 이는 연준의 대담함이 차후 정책결정자들의 합리적결정에 의해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것이 금융시장으로 부터 시작되어 경제전반에 악영향을 끼치는 악순환의 위험을 제거할 방법이다. 국제적인 매도세에 대응하여 연준은 1월 22일 대폭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연준은 1월 30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경제를 논평하기에 앞서 금융시장의 "stress(압박)"를 수차례 언급했다. 비둘기파(원칙을 강조하기 보다는 정책을 유연하게 집행하는, 반대말: 매파)적인 성명서에서 중안은행 관계자들은 그들이 경기하방 위험에 대해 가장 걱정하고 있으며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겠다고 공언하여 논란의 여지를 남겨두지 않았다.



Judging by the price of Fed fund futures, investors expect the federal funds rate to be as low as 2.25% by the end of the year. That highlights the danger in Mr Bernanke's new strategy. In trying to prevent financial-market calamity, the Fed may find itself pushed by Wall Street to leave interest rates too low for too long.



연방기금선물(Fed fund futures) 가격으로 판단컨데 투자자들은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가 연말까지 2.25%수준으로 떨어질 것을 예측하고 있다. 이는 버탱키의 새로운 전략에 위험성이 내재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금융시장의 참사를 막기위해 노력하는 한, 연준은 월스트릿 금융가들에 의한 압박으로 장기간 저금리를 유지해야만 할 지도 모른다.





standing pat 처음패로 밀고 나가다.



비둘기파: 어떤 분쟁이나 사태에 대하여 자기 주장을 강경하게 내세우지 않고 상대편과 타협하여 온건하게 일을 처리하려는 사람들을 이르는 말.



연방기금선물(Fed fund futures)은 미국의 정책금리인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선물로서 향후 연방기금금리 수준에 대한 금융시장 참가자들의 전망에 의해 가격이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