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bust output data boost markets
활발한 생산성 지표가 시장을 부양하고 있다.
By Daniel Pimlott in London and Krishna Guha in Washington
Published: June 1 2009 20:21 | Last updated: June 1 2009 22:48
Stock markets round the world surged on Monday as robust manufacturing data raised hopes that the global economy could soon be past the worst of the recession.
세계의 주식시장이 월요일에 되살아났다. 활발한 생산성지표가 세계경제를 최악의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게 할 거란 믿음때문이다.
The FTSE Eurofirst 300 index of leading European shares rose 2.8 per cent to a five-month high. In New York, the S&P 500 index was up 2.9 per cent by late afternoon, also at a five-month high, following a surge in Asian stock prices. The price of crude oil jumped to more than $68 a barrel to a seven-month high.
유럽주식지수는 5개월 최고치인 2.8%로 올랐다. 뉴욕에서도 S&P 500지수가 2.9% 올르면서 5개월 최고치를 경신했다. 아시아 주식가격도 상승을 뒤따랐다. 원유가격은 7개월 최고치인 배럴당 68$까지 올랐다.
The improvement in risk appetite undermined the dollar’s appeal as a haven and the currency touched its lowest level of the year against the euro.
위험을 감수하려하면서 안전자산인 달러의 매력은 줄었고 유로대비 환율은 연중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Government bonds also resumed their downward path as investors flocked to equities. The yield on the 10-year US Treasury bond soared to within a whisker of last week’s six-month high of 3.75 per cent.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몰리면서 국채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10년물의 수익률은 지난주 6개월 최고치인 3.75에서 약간 올랐다.
China’s manufacturing sector expanded for the third straight month in May, according to the country’s official purchasing managers’ index.
중국의 생산부분은 3개월 연속으로 증가했다.
The US ISM survey of manufacturing activity came in higher than expected, showing strong new orders – though consumer spending for April came in down 0.1 per cent.
미국 산업생산지수는 4월 소비지출이 0.1% 감소했지만 신규주문량의 증가로 기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In the UK, the purchasing managers’ index hit its highest level in a year .
영국에서는 구매지수가 연중 최고치를 기록했다.
In the eurozone, the manufacturing recession also appeared to be easing, with indices rising at a record rate.
유로존에서는 생산지수가 상승세로 전환하면서 생산침체가 완화되었다.
A survey of manufacturing activity in India showed an increase for a second month, while in Australia the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index rose to a eight-month high.
인도의 생산성지수는 이번해 들어 두번째로 상승했고, 호주의 생산성지수도 8개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Analysts said the improvement round the world suggested that the recessionary forces buffeting the global economy were starting to abate.
애널리스트들은 세계경제가 침체압력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One composite measure of factory activity in the US, Japan, Germany, France, UK, China and Russia showed that manufacturing declined at its slowest pace for nine months in May. The global index, produced by JPMorgan with research and supply management organisations, rose to 45.3 in May from 41.8 in April, where any level below 50 points to contraction.
세계주요국의 공장활동성지표는 5월 들어 하락세가 점차 감소하기 시작했다. JPMorgan생산자지수는 45.3을 기록하며 41.8을 기록했던 지난달 보다 올랐다.
The slowing decline in global manufacturing in recent months comes after businesses sought to save their cash in the wake of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last September by slashing inventories rather than making new orders for goods.
리만브로더스 파산 이후 기업들이 새로운 주문을 하지 않고 재고를 팔아치워 현금을 확보하면서 생산량이 감축했었다.
As they held off from new orders production lines round the world ground to a halt, prompting a precipitous decline in manufacturing output.
그들이 새로운 생산라인을 구축하고도 생산하지 않으면서 생산성은 급속하게 줄어들었다.
But now companies are beginning to run low on stocks, forcing them to make fresh orders once again.
그러나 지금은 기업들이 저장상품을 줄이고 새로운 주문을 하고 있다.
Monday’s US reports confirmed that consumption was on a weak trajectory, with spending 1.2 per cent lower in April than on average in the first three months of the year. The personal savings rate rose to 5.7 per cent on stimulus tax cuts.
월요일 미국은 소비가 1.2%하락했다. 개인저축률은 5.7%까지 올랐다.
But while the rebound in manufacturing has been growing for several months in many economies, economists remain concerned that it merely reflects restocking and will peter out as struggling consumers and businesses around the world struggle to resume spending.
그러나 생산성이 재상승하더라도 전문가들은 재고가 다시 증가하고 지출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걱정하고 있다.
“The critical next phase of the crisis is whether we will see an improvement in end demand,” said Mr Jeffrey. “I doubt the progress we’ve seen [in manufacturing] will be sustained.”
"이번 위기의 다음은 년말에 수요가 살아나느냐에 달려있다. 나는 생산성의 증가가 계속될 걸로 생각한다."
Additional reporting by Kathrin Hille and Amy Kazmin
Copyright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09
-생산성증가->실업율감소->소비증가->생산증가 의 선순환은 일어나지 않음
-소비성지표는 여전히 하락.
-생산력 증가가 소비증가로 파급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림
-설사 실업율이 하락하더라도 소비증가는 급격히 늘어나지 않을 듯
-저축률 증가로 이전과 같이 빚내서 소비하는 행태는 사라졌기 때문.
-다른 기사에서 보면 모기지 부실은 점차 커지고 있기 때문에 금융불안이 실물위기를 가져올 위험은 여전히 존재함.
2009. 6. 1.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