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1. 18.

[FT]Land leased to secure crops for South Korea

Land leased to secure crops for South Korea
한국의 식량안보를 위해 땅을 빌리다.
By Javier Blas in London
Published: November 18 2008 18:45 Last updated: November 18 2008 18:45

Daewoo Logistics of South Korea has secured farmland in Madagascar to grow food crops for Seoul, in a deal that diplomats and consultants said was the largest of its kind.
대우로지스틱스는 한국에 조달할 식량재배를 위해 마다가스카르의 농지를 확보했다. 컨설턴트와 외교관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농지임대건중 가장 규모가 크다.

The company said it had leased 1.3m hectares of farmland – about half the size of Belgium – from Madagascar’s government for 99 years. It plans to ship the maize and palm oil harvests back to South Korea. Terms of the deal were not disclosed.
회사는 130만핵타르규모의 농지-벨기에영토의 절반에 이른다-를 마다가스카르 정부로부터 99년동안 빌린다고 밝혔다. 옥수수와 야자기름을 한국으로 운송하는 계획이다. 계약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The pursuit of foreign farm investments is a clear sign of how countries are seeking food security following this year’s crisis – which saw record prices for commodities such as wheat and rice and food riots in countries from Egypt to Haiti.
외국 농장투자건은 많은 나라들이 이번 년도에 발생한 식량위기를 보며 식량안보를 걱정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식량위기로 밀이나 쌀같은 식량상품가격이 폭등하여 이집트, 아이티에서는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Prices for agricultural commodities have tumbled by about half from such levels but countries remain concerned about long-term supplies.
농작물상품가격은 절반이하로 떨어졌지만 여러 나라들은 여전히 장기적인 공급에대해 걱정하고 있다.

The United Nations’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warned this year that the race by some countries to secure farmland overseas risked creating a “neo-colonial” system. Those fears could be increased by the fact that Daewoo’s farm in Madagascar represents about half the African country’s arable land, according to estimates by the US government.
유엔 식품농업 사무국은 이번 년도에 일부 국가에서 농장을 사들이면서 신제국주의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미국정부에 따르면 대우의 마다가스카르농장 매수로 아프리카 나라에 소재한 경지들 중 절반에 대해 이러한 걱정이 늘어다고 있다 .

Shin Dong-hyun, a senior manager at Daewoo Logistics in Seoul, said the company would develop the arable land for farming over the next 15 years, using labour from South Africa, and intended to replace about half South Korea’s maize imports.
대우 로지스틱스의 관리자인 신동현씨는 남아프리카 노동력을 활용하여 향후 15년 동안 경지를 개발할 것이고, 이는 한국의 옥수수수입량 중 절반을 대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South Korea, a heavily populated but resource-poor nation, is the fourth-largest importer of maize and among the 10 largest buyers of soyabeans.
한국은 인구는 많으나 자원이 부족한 국가이다. 전세계 옥수수 수입국가 중 4위를 차지하며 10대 콩수입국가이기도 하다.

Carl Atkins, of consultants Bidwells Agribusiness, said Daewoo Logistics’ investment in Madagascar was the largest it had seen. “The project does not surprise me, as countries are looking to improve food security, but its size – it does surprise me.”
비드웰 아그리비지니스의 컨설턴트인 칼 아트킨스는 대우로지스틱스의 투자가 역대 최대건이라고 했다. "이번 계약은 그리 놀라운 것이 아니다. 여러 국가들이 식량안보에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계약규모는 놀라울 정도로 크다."

Concepción Calpe, a senior economist at the FAO in Rome, said the investment came after this year’s food crisis. “Countries are looking to buy or lease farmland to improve their food security,” she said.
FAO의 선임연구원인 콘텝시온 칼페는 이번 투자는 올 해 식량위기때문에 체결된 것이라고 말했다. "여러 나라들은 자신들의 식량안보를 위해 경지를 임대하거나 사려고 하고 있다."고 그녀는 말했다.

Al-Qudra Holding, an investment company based in Abu Dhabi, said in August it planned to buy 400,000 hectares of arable land in countries in Africa and Asia by the end of the first quarter of 2009.
아부다비에 위치한 투자회사인 알쿠드라 홀딩은 8월에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위치한 400,000헥타르의 경지를 2009년 1분기까지 사들이겠다고 발표했다.

Meles Zenawi, prime minister of Ethiopia, said this year its government was “very eager” to provide hundreds of thousands of hectares of agricultural land to Middle Eastern countries for investment.
이디오피아의 수상인 멜레스 즈나위는 이디오피아 정부의 수십만헥타르에 달하는 경작지가 중동국가들 투자에 "매우 목말라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08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