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1. 26.

Nations turn to barter deals to secure food
나라들이 식품안보를 위해 교환무역을 하는 방향으로 바꿨다.

By Javier Blas in London

Published: January 26 2009 23:32 | Last updated: January 26 2009 23:32

Countries struggling to secure credit have resorted to barter and secretive government-to-government deals to buy food, with some contracts worth hundreds of millions of dollars.
여러 나라들이 정부간 거래 및 교역을 하여 식품안보에 대한 믿음을 얻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역거래 중 어떤 것은 1억달러 정도의 가치가 있다.

In a striking example of how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high food prices have strained the finances of poor and middle-income nations, countries including Russia, Malaysia, Vietnam and Morocco say they have signed or are discussing inter-government and barter deals to import commodities from rice to vegetable oil.
세계 금융 위기와 식품가격상승이 빈국과 중간정도 국가의 재정을 어떻게 악화시키는지에 대한 예를 보자. 러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모로코는 그들이 쌀부터 식물성 기름을 수입하는 교역계약을 논의하거나 맺었다고 말한다.

The revival of these trade practices, used rarely in the last 20 years and usually by nations subject to international embargoes and the old communist bloc, is a result of the countries’ failure to secure trade financing as bank lending has dried up.
지난 20년간 좀처럼 시행되지 않았지만 무역금지조치와 과거 공산국가지역에 속했던 나라들에 의한 이러한 무역행위의 재현은 해당 국가들의 은행돈줄이 마르면서 자금조달의 실패의 결과이다.(???)

The countries have not disclosed the value of any deals, and some have refused even to confirm their existence. Officials estimated that they ranged from $5m for smaller contracts to more than $500m for the biggest.
위 나라들은 어떤 계약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일부는 공개가 승인되었음에도 거절되었다. 관계자들은 작은계약의 경우 5백만달러, 큰 계약의 경우에는 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Josette Sheeran, head of the United Nations’ World Food Programme, said senior government officials, including heads of state, had told the WFP they were facing “difficulties” obtaining credit to purchase food. “This could be a big problem,” she told the Financial Times.
유엔 세계식량프로그램의 책임자는 그들이 식량을 구매하는 데 믿음을 갖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이것은 큰 문제가 될 수 있어요." 그녀는 FT에 말했다.

Last week, Malaysia’s commodities minister, Datuk Peter Chin Fah Kui, said Kuala Lumpur had already signed a barter deal swapping palm oil for fertilizer and machinery with North Korea, Cuba and Russia. He said Malaysia was talking to Morocco, Jordan, Syria and Iran about other barter deals.
지난 주, 말레이시아의 상품장관인 다툭 피터 친 파 쿠이는 이미 북한, 쿠바, 러시아 등의 국가들과 팜오일을 화학비료, 기계와 교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말레이시아가 교환무역을 하기 위해 모로코, 요르단, 시리아, 이란과 협상중이라고 전했다.

“[Bartering] could be used for contracts with other countries that do not have the cash,” Mr Chin told the local press. “We can set the conditions for them to supply us with the raw materials that we need.”
"교환무역으로 돈이 없는 나라들과 교역할 수 있습니다." 친은 지방신문과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우리가 필요한 천연자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조건을 설정할 수 있어요."

Thailand, the world’s largest exporter of rice, is discussing barter deals with Middle Eastern countries, including Iran. The Philippines, the world’s largest importer of rice, has secured rice needs for this year through a diplomatic agreement with Hanoi.
세계에서 가장 많은량의 쌀을 수출하는 태국은 이란을 포함한 중동국가들과 교환무역을 하기 위해 협상하고 있다. 세계최대 쌀 수입국인 필리핀은 베트남과 외교협정을 맺으면서 이번 년도에 필요한 쌀을 공급하는 데 안정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The countries’ struggle to obtain credit to import food is boosting the price of domestic crops. Ms Sheeran said that prices of crops in some African countries were rising sharply even as international food commodities prices had fallen from last summer.
식량수입시 신용획득에 어려움을 겪는 국가들은 자국의 식량가격을 끌어올리고 있다. 쉬란은 일부 아프리카국가에서 식량가격은 국제 식량상품가격이 지난 여름부터 떨어지고 있음에도 급격히 올랐다고 말했다.

The move to barter shows the global food crisis that started last year is far from over.
교환무역으로의 이동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세계식량위기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Copyright The Financial Times Limited 2009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