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bal inflation 국제물가상승
A delicate condition
미묘한 상태
Jan 17th 2008 | HONG KONG AND WASHINGTON, DC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Global inflation is rising even as the world economy is slowing. How much should policymakers worry?
세계경제는 침체국면에 접어드는데 글로벌 인플레이션은 나타난다. 정책입안자들은 얼마나 관심을 기울여야 하나?
HAVING a little bit of inflation is like being a little bit pregnant. Is that old adage worth bearing in mind as consumer prices across the globe accelerate? Even as America flirts with recession, figures released on January 16th showed that consumer prices were 4.1% higher in December than a year earlier, up from 2.5% in 2006. In the euro area, inflation is running at 3.1%, the fastest pace since the euro notes and coins began circulating. China's inflation rate, at 6.9%, is the highest in 11 years.
인플레이션이 약간 나타나는 것은 약간 임신한 것과 같다. 이와 같은 격언은 소비자물가가 세계적 파급효과를 갖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새겨들어야 할 만큼 중요한 격언인가? 미국의 경기침체 위기 속에서 1월 16일 발표된 경제수치를 살펴보면 소비자가격이 12월 대비 4.1% 상승하였으며 이는 전년도 2.5%보다 오른 것이다. 유로지역에서는 물가상승률이 3.1%에 달하며 이는 유로화가 유통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빠른 성장세이다. 중국의 물가상승률은 6.9%로 11년 사이 최고치이다.
According to an index produced by Goldman Sachs, global inflation was 4.8% in the year to November, two percentage points up from the previous year (see chart). Prices accelerated in 80% of the countries that Goldman tracks.
골드만 삭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세계 물가상승률은 작년 11월까지 4.8%였으며 이는 이전 년도보다 2%상승한 것이다. 골드만이 조사한 나라들 중 80%국가에서 물가가 상승하였다.
By historical standards, this is all small beer. An inflation rate of 5% hardly marks a return to the double-digit price increases that haunted rich countries in the 1970s and emerging economies for far longer. (For much of the 1990s, the average inflation rate in poor countries was 50%.)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건 약과다. 5%의 물가상승률은 1970년대 선진국과 개도국들이 기록했던 두 자릿수 물가상승률과는 거리가 멀다. (90년대에는 빈국의 평균 물가상승률은 50% 였다.)
Nonetheless, the upswing is broad enough to pose awkward questions. With ever more signals, from weak retail sales to rising joblessness, pointing to an American recession, is the world headed for a bout of stagflation-lite? And will stubborn price pressures constrain the marked easing of monetary policy that America's central bankers now promise?
그럼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상승률은 위험스러운 질문이 제기될 만큼 폭이 광대하다. 그렇다면 소매상 판매부진부터 실업률증가까지 미국의 경기침체를 드러내는 다양한 신호들과 함께 세계는 스테그플레이션으로 접어들고 있는가? 또한 좀처럼 꺾이지 않는 가격압박이 미국중앙은행이 약속하는 통화정책의 유연성에 제약을 가하는가?
The answers depend on what has been driving inflation up and whether those pressures persist even as economies slow. Ultimately, inflation is a monetary phenomenon, so responsibility lies with central bankers. Pessimists point out that monetary conditions have been loose in recent years, with real interest rates low and credit growth rapid, particularly in emerging economies.
문제에 대한 답은 물가상승률이 지속되는 요인과 이러한 압력이 경제성장률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지속될지 여부에 달려있다. 결국 물가상승률은 통화정책의 문제이다. 따라서 책임져야 할 대상은 중앙은행이다. 비관론자들은 최근 통화상황이 느슨했다는 것을 지적한다. 실질금리는 낮았고 신용은 급격히 성장했다. 특히 신흥개발국가의 경제에서 그러했다.
Others worry that the task of central bankers has become harder as globalisation has shifted from being a disinflationary phenomenon to an inflationary one. The downward price pressure from cheap Chinese goods may be abating while the developing world's rampant demand for resources may continually drive commodity prices higher.
다른 이들은 세계적인 기류가 통화긴축에서 통화팽창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중앙은행의 임무가 힘들어 졌다고 걱정한다. 값싼 중국제 상품으로 인한 가격인하압박은 약화될 것이다. 개도국들의 매서운 자원수요가 원자재가격을 계속에서 상승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There is some truth to these arguments, but none offers a complete explanation of recent price trends. In some emerging economies monetary laxness is clearly fuelling inflation—in the Gulf states, for instance, as the direct consequence of their dollar pegs.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 몇 가지 근거가 있지만 누구도 최근 가격 추세를 완벽히 설명하지는 못한다. 몇몇 개도국 경제에서 나타난 유연한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에 기름을 부어댔던 것이 사실이다. 예를 들어 걸프만 국가들의 달러페그제[1]가 이러한 결과를 불러왔다.
But elsewhere the picture is less clear. Take China, where fears of social unrest have made inflation one of the government's top concerns and have led it to impose various price controls over the past week. The accumulation of vast foreign-exchange reserves has fuelled domestic money growth and the inflation rate has tripled in the past year. But that rise is almost entirely due to a jump in food prices, particularly of pork. Core inflation (excluding food, but including oil) is running at only 1.4%. Pig disease deserves more blame for China's recent inflation than loose policy. What's more, China's monetary conditions are tightening fast.
하지만 어디에서도 이러한 상황은 명확히 드러나지 않는다. 중국의 경우를 보면 중국정부는 사회적 불안에 대한 공포 때문에 국가의 최대 당면과제들 중 하나가 인플레이션이어서 지난 주 동안 여러 가격억제 정책을 시행해 왔다. 급격한 외환 보유고의 증가로 자국통화의 가치가 상승했고 물가상승률은 작년의 세배로 뛰었다. 그러나 지난 물가상승률의 주요 요인은 돼지가격을 선두로 한 식품가격의 상승이다. 순 물가상승률(식품을 제외하고 원유를 포함한)은 1.4%만 상승한 상태다. 최근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팽창적인 통화정책 때문이 아니라 돼지 전염병 탓인 것이다. 이에 더해 중국의 통화량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Nor is China's deflationary effect on global tradable-goods prices about to end. To be sure, Chinese wages are accelerating, up by 19% in the year to September, the fastest pace for five years. But those official figures, which include only state-sector workers, almost certainly exaggerate overall wage increases. More import!ant, China's productivity is growing faster, by 20% a year, according to America's Conference Board, a research organisation. That means overall unit costs are still falling.
또한 국제 교역품 가격에 영향을 끼쳤던 중국 발 물가인하 효과가 끝났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물론 중국의 임금은 상승하고 있다. 9월까지19%상승했으며 이는 지난 5년이래 가장 빠른 상승세다. 그러나 공식발표 된 수치들은 국가부문의 노동자만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는 과대측정 된 것이다. 그보다 연구 기관인 미양원 협의회가 발표한 년간 20%달하는 중국의 생산성 증가가 더욱 중요하다. 그것은 전체 단위당 생산비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t is true that the prices of American import!s from China are rising after several years of decline. But that has more to do with the weakness of the dollar than with increasing Chinese production costs. And even if the prices of Chinese goods rise, they could still dampen inflation in richer economies, because they are much cheaper than domestically produced equivalents and are gaining market share. As China produces higher value items, it will push down prices of domestically produced goods in ever more industries.
지난 몇 년간의 가격하락세에서 벗어나 미국이 중국에서 들여오는 제품의 가격이 오르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게 된 데에는 중국산 제품비용의 증가보다 달러화 약세에 원인이 있다. 중국제품의 가격이 올랐다 할지라도 그것들은 여전히 부국들의 인플레이션을 둔화시키고 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품보다 값싸다는 이유로 시장점유율을 얻고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중국이 지금보다 높은 가치를 지닌 상품을 생산한다면 더 많은 분야에 걸쳐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품은 가격하락압력을 받을 것이다.
A more direct link betwee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flationary pressure comes through commodity prices. The prices of many raw materials have surged in the past 12 months. The Economist's dollar-based commodity-price index is up by 26% from a year ago. The food index is up by almost 50%. The price of oil has risen almost 80%. These jumps are the main cause of higher inflation across the globe. They are also related, at least in part,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global economy.
중국과 같은 개도국들과 물가상승 압박의 보다 직접적인 연결고리는 원자재가격이다. 수많은 원료의 가격은 지난 12달간 급격히 올랐다. 이코노미스트지가 발표하는 원자재가격의 달러화 수치는 1년 동안 26%까지 상승했다. 식품지수는 거의 50%가량 상승했다. 원유가격은 80%까지 올랐다. 이런 급격한 가격상승들이 전세계에 높은 물가상승률을 불러왔다. 또한 지금의 상황은 부분적으로라도 세계경제가 구조적으로 변화하는 현실과 연관되어 있다.
The world economy is increasingly powered by countries, such as China and India, whose growth is far more energy- and commodity-intensive than that of rich countries. Since 2001, China has accounted for about half of the increase in the world's demand for metals and almost two-fifths of the increase in oil demand.
세계경제는 선진국이 아니라 중국이나 인도와 같이 성장하는 데 에너지나 원자재를 필요로 하는 국가들에 의해 성장하고 있다. 2001년 이후 중국은 세계 금속재료 수요증가분 중 절반을 소비했으며 석유 수요증가량 중에서는 약 5분의 2정도를 사용했다.
This shift means that the usual relationship between America's business cycle and commodity prices may change. Past American recessions have sent the prices of oil and other resources down. That may no longer be so. Economists at HSBC say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industrial output and commodity prices began to fall apart a few years ago.
이러한 변화는 미국 경기변동과 원자재가격의 일반적인 관계가 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거 미국 경기침체는 국제유가와 여타자원의 가격을 하락시키는 원인이었다. 이제는 더 이상 그렇지 않을 것이다. HSBC의 경제분석가는 몇 년 전부터 산업산출량과 원자재가격의 상관관계가 약화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But that does not mean commodity prices will continue to surge. Emerging economies may be more resilient to an American recession than hitherto, but they are unlikely to grow faster. At the margin, therefore, the demand for commodities will slow. And in the longer term, higher commodity prices will eventually lead to greater supply. Much of the surge in raw-material prices in recent years reflects the fact that few foresaw the pace of emerging-market growth. All of which suggests that, even if commodity prices don't fall, their rate of increase will ease, and the biggest driver of recent global price pressure will weaken.
그러나 그것이 원자재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상황이 지속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개도국들의 경제는 과거보다 미국의 경기침체에서 빠르게 회복할 것이다. 하지만 그들 국가는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보다 빠르게 성장하지는 못 할 것이다. 따라서 원자재에 대한 한계수요는 점차 더뎌질 것이다.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원자재가격의 상승은 일시적으로 급격한 공급증대를 야기할 것이다. 최근 원료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개도국 시장의 성장세에 대한 예측을 반영한 것이 사실이다. 이 모든 것은 원자재가격이 떨어지지는 않더라도 가격상승률은 완화될 것이며 최근 국제 물가 상승을 견인한 주체가 약화되는 것을 암시한다.
The weight of expectation
예상의 영향력
So is it time to stop fretting about inflation? Not quite. For a start, a pick-up in underlying inflation suggests that price pressure has seeped beyond commodities. According to Goldman's index, core consumer prices, which exclude the volatile categories of food and fuel, are rising in some 70% of countries. Second, economic weakness does not immediately suppress underlying price pressure. Goldman's economists point out that during the 2000-02 global downturn, core inflation in G7 countries peaked more than a year after growth started to weaken. The rich world could easily face a prolonged period of weaker growth and persistent price pressure.
그럼 이제 인플레이션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가? 장담할 수는 없다. 우선 잠재적인 인플레이션 상황은 가격압력이 원자재 상품시장을 넘어 확대되고 있는 상태라고 했던 것을 상기해보자. 골드만삭스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변동성이 심한 식품과 연료를 제외한 순소비자가격은 약 70%국가에서 상승했다. 두 번째, 경제력 약화가 내재하는 가격압박을 즉시 억누르는 것은 아니다. 골드만의 경제분석가들은 2000년에서 2002년 동안 발생한 세계경제 침체를 지적했다. 당시 G7국가들 사이에서 순물가상승률은 성장이 약화된 지 1년 이상이 지난 뒤에야 고점을 찍었다. 선진국들은 경제침체와 가격압박이 지속되는 기간이 길어지는 위험에 쉽게 노출될 가능성이 있다.
How much to worry depends on whether this combination affects people's expectations of future inflation. Academic evidence suggests that low, stable inflation expectations are the main difference between today and the 1970s. Because central banks have earned a reputation as inflation fighters and people expect long-term inflation to remain low, price shocks—even on the scale of the recent commodity-price surge—need not translate into persistently higher inflation. Were workers and firms to expect higher inflation, and set wages and prices accordingly, central bankers would face a big problem.
우리가 기울여야 하는 관심의 크기는 이상의 조합이 미래인플레이션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에 미치는 영향의 여부에 따라 다르다. 학문적인 연구에 따르면 오늘날과 1970년대의 가장 큰 차이는 물가상승률이 낮고, 안정적일 것으로 기대한다는 점이다.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의 대항마로서 자리매김을 했고 사람들은 장기적 관점에서 물가상승률이 낮을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가격충격이 – 최근 원자재가격은 급격히 올랐지만- 지속적인 고인플레이션으로 반드시 옮아 가는 것은 아니다. 노동자들과 기업들이 고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임금과 가격을 그에 따라 결정한다면 중앙은행에 큰 문제가 될 수도 있다.
That concern is haunting the European Central Bank (ECB). Judging by its survey of professional forecasters, long-run inflation expectations remain stable: the seers predict 1.9% in five years time. But consumers' expectations of price rises over the next year have risen quite sharply. What is more, unemployment is low and, judging by the unions' opening bids in pay negotiations from Germany to Italy, workers are demanding hefty wage increases. The risk of a wage-price spiral, albeit a modest one, is not negligible. The ECB's hawkishness—including threats that interest rates might have to rise—is designed to stamp it out.
그러한 문제는 유럽중앙은행을 끊임없이 괴롭히고 있다. 전문예측가들의 조사를 바탕으로 판단하건대 장기적 물가상승률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안정돼있다. 그들은 5년간 1.9%로 예측한다. 그러나 내년을 바라다 보는 소비자들의 가격상승에 대한 예상치는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다. 이보다 더한 것은 실업률이 낮고, 독일에서 이태리에 걸친 임금협상에서 노동조합이 급격한 임금상승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임금-가격 악순환의 위험은 대단하지는 않지만 무시해도 좋을 정도로 하찮지는 않다. 유럽중앙은행의 매파들은 – 금리를 반드시 올려야 한다고 협박하는 자들을 포함해서 – 그것을 묵살하려고 한다.
The Fed has more leeway, though inflation has picked up faster in America than in the euro zone. Judging by the spread between American Treasury bonds and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investors' expectations of inflation between five and ten years hence have been falling (see chart).
물가상승률이 유로존보다 미국에서 급격히 오르고 있기는 하지만 미연방은행은 여유가 있는 편이다. 미재무성국채와 물가연동국채² 간 금리차이로 추정해보면 투자자들은 지금으로부터 5년에서 10년 사이에 인플레이션율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Given the American backdrop, the Fed's recent decision to step up the pace of interest-rate cuts is understandable. The weak economy poses a bigger danger than inflation. But there are risks. Even if commodity-price inflation wanes, the falling dollar means America faces other inflationary threats. And if overall price pressure remains stubbornly elevated, inflation expectations may yet rise. If that happens, the Fed will face the unenviable task of curtailing its easing or even raising rates while the economy is weak.
미국이 처한 상황의 배경을 놓고 볼 때 미연방은행이 최근 연일 금리인하 행보를 더해가는 것은 이해할만하다. 인플레이션보다 경기침체가 큰 문제다. 그러나 여기에는 위험이 있다. 원자재가격의 오름세가 진정된다 해도 달러화의 추락은 미국에게 또 다른 물가상승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물가압력이 굳건히 상승한다면 물가상승예상치는 계속 오를 수 밖에 없다. 만약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면 미연방은행은 통화유연화를 축소하거나 경기침체기에 금리를 올려야 하는 난처한 상황에 당면할 수도 있다.
--------------------------------------------------------------------------------
[1] 달러 페그제( dollar pegged exchang rate system)란 자국 화폐를 고정된 달러 가치에 묶어두고(peg : '말뚝'이나 '쐐기'를 뜻하는 단어) 정해진 환율로 교환을 약속하는 홍콩의 통화제도로 일종의 변형된 고정환율제도다. 페그제는 원래 19세기 영국 식민지에 적용된 제도였지만 최근 들어 아르헨티나 등지에서 도입하고 있다. 이 제도하에서는 한 나라의 통화와 연계되는 통화간에는 환율이 변하지 않지만, 연계된 통화와 세계 여타 통화간의 환율이 변동하므로 여타 통화와는 간접적으로 변동환율제를 채택한 셈이 된다. 지난 1983년 이후 19년동안 페그제를 유지해온 홍콩은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당시 많은 국가들이 자국 통화를 평가절하 했으나, 미국 달러당 7.80 홍콩달러의 고정환율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슈화 되고 있는 걸프 산유국이 달러 페그제를 포기할 경우 오일머니가 미국을 빠져나가 달러화 가치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1990년대 후반, 페그제를 택했던 대부분의 국가들은 통화가치가 자국의 경제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국제 환(換)투기 세력의 표적이 돼 엄청난 손실을 가져옴으로서 페그제를 포기했다.
[2]
Treasury Inflation-Protected Securities, also known as TIPS, are securities whose principal is tied to the Consumer Price Index. With inflation, the principal increases. With deflation, it decreases. When the security matures, we pay the original or adjusted principal, whichever is greater. TIPS pay interest every six months, based on a fixed rate applied to the adjusted principal. Specifically, each interest payment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adjusted principal by one-half the interest rate.
2008. 1. 28.
A delicate condition[Economist] 1/17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