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rman banks
Slow motion
느린 화면
Jan 10th 2008 | FRANKFURT
From The Economist print edition
A shaking up is what Germany's banks need. Don't hold your breath
독일 은행들이 원하는 것은 흔들기이다. 너무 기대하지 마라.
IT IS a sad fact that Germany's banks tend to consolidate only when they are in trouble. Glass-half-full types hoped that America's subprime crisis would lead to a shake-up, particularly among the Landesbanks, the publicly owned lenders that provide wholesale services to regional savings banks. But even when institutions need help the political obstacles to change remain formidable.
독일의 은행들이 어려움에 처할 때에만 합병하는 것은 안타까운 사실이다. 상황에 따른 태도는 미국 서브프라임 위기가 특히 도매로 지역 저축은행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인 주연방은행들 사이를 흔들것이라고 바란다. 그러나 기관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조차도 변화되어야 할 정치적 장애물들은 강력한 상태로 유지된다.
Merger talks between WestLB, in Dusseldorf, and Landesbank Hessen-Thüringen (Helaba), in Frankfurt, have been suspended until after January 27th, when Roland Koch, prime minister of Hesse, hopes to be re-elected. WestLB ran up losses of €604m ($888m) in a share-trading scandal last year, before revealing that it had funding obligations totalling $15.6 billion to two off-balance-sheet structured investment vehicles (SIVs). Any hint before the election that Helaba is buying a pig-in-a-poke—it is not yet clear just how much WestLB lost last year—could hurt Mr Koch's chances with the voters.
뒤셀도르프에 있는 WestLB와 프랑크푸르트에 있는 Helaba사이의 합병논의는 1월 27일 이후로 연기되었다. 이는 Helaba의 총재인 Roland Koch가 재선출 되고자 했기 때문이다. WestLB는 작년에 드러난 주식 거래 스캔들로 €604m ($888m)-8억 8천8백만 달러-손실을 기록했고 그것이 드러나기 전에는 회계상으로는 나타나지 않는 구조화투자회사(SIV) 에 총 156억불에 달하는 자금을 제공했다. 선거전에 어떤 시사도 없이 Helaba가 충동구매 - 아직 WestLB가 작년에 잃은 손실액이 얼마나 되는지 확실치 않다 - 를 하는 것은 Koch총재가 선출되는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WestLB is not the only bank to have sought shelter in the storm. SachsenLB, a much smaller Landesbank with exposure to a lot of subprime-related assets, has taken refuge in the arms of the biggest Landesbank, LBBW in Stuttgart, but only after LBBW last month negotiated guarantees for the first €2.75 billion of losses from the government of Saxony, as well as pledges of support from public banks if losses go above a certain level.
WestLB는 피난처를 찾아온 유일한 은행은 아니다. 서브프라임과 관련된 많은 자산을 보유한 것으로 드러난 훨씬 작은 주연방은행인 SachsenLB는 거대 주연방은행인 슈트트가르트의 LBBW에 의해 구제되었다. 하지만 결국 그 후 LBBW 는 지난달 첫 손실인€2.75 billion에 대한 채무보증에 관하여 손실이 일정수준 넘어서면 공영은행들이 지원하겠다는 협약을 Saxony주정부와 교섭하였다.
Other deals will be even harder to achieve. By rights, the country's seven independent Landesbanks ought to be whittled down to just two or three. Only three Landesbanks have a meaningful base of private customers. More mergers, for example between LBBW and its Bavarian neighbour, BayernLB, or in north Germany between HSH Nordbank, NordLB and Landesbank Berlin, would make perfect sense. But the politicians, some of whom sit on the banks' supervisory boards, are reluctant to give up power and prestige. (Putting merged Landesbanks under a common holding company would be one way to preserve regional identities.)
다른 협상들은 체결되기 더욱 힘들 것이다. 상식적으로(?), 국가의 7개 독립 주연방은행들은 두개나 세개로 줄어야 한다. 오직 세개의 주연방은행들만 의미있는 사유거래처의 기반을 가지고 있다. 더 많은 합병, 예를 들어 LBBW와 그의 이웃인 BayernLB, 또는 북독일의 HSH Nordbank, NordLB과 Landesbank Berlin, 은 완벽히 합리적일 것이다. 그러나 은행감독위원회에 있는 정치인들은 권력과 위신을 포기하는 것을 반대한다. (합병한 주연방은행을 공공 보유 회사의 아래 두는 것은 지역적 특성을 보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A shortage of eligible buyers also gums up the system. Landesbanks and savings banks are generally protected from private ownership by regional laws. Only HSH Nordbank and Landesbank Berlin have private minority shareholders. WestLB sold its 26.6% stake in HSH Nordbank to a private-equity investor in 2006. Landesbank Berlin had been partly privatised but was bought at auction last year by the German Savings Bank Association precisely to prevent it, and its subsidiary, Berliner Sparkasse, from falling into private hands.
자격있는 구매자가 부족한 것 역시 올바른 체제를 방해한다. 주연방은행과 저축은행들은 일반적으로 지역법에 의해 개인소유로부터 보호받고 있다. 오직 HSH Nordbank와 Landesbank Berlin만 소수의 개인주주들을 가지고 있다. WestLB는 그들이 가지고 있던 HSH Nordbank에 대한 26.6% 지분을 2006년에 개인투자자에게 팔았다. Landesbank Berlin는 부분적으로 민영화 되었다. 그러나 작년에 독일 저축은행 협회가 개인투자자가 소유하는 것을 방해하고 자신의 지배하에 두기 위해 그것을 경매(?), 시장가(?)를 통해 샀다.
And even if would-be acquirers are able to bid, buying banks just now is only for the bold. KfW, a state-owned development bank, learned too late the consequences of having a 38% stake in IKB, a listed bank that ran into subprime problems last July. KfW bore the brunt of a €3.3 billion rescue operation (which had to be increased in November to €6.15 billion) that was co-ordinated by public and private banks. IKB's potential losses, still uncertain, are covered, but KfW is still having trouble finding a buyer for its stake, which is dwindling in value along with the share price.
또한 만약 잠재적 투자자들이 입찰할 수 있을 지라도 구매은행들은 지금 절벽 위에 있는 상태다. 주에서 소유하고 있는 개발은행인 KfW는 작년 7월 서브프라임 모기지 때문에 문제를 겪고 있는 은행인 IKB의 지분 중 38%를 소유한 결과를 너무 늦게 알아차렸다. KfW는 공영은행과 민영은행에 의해 조달되었던 33억 유로의 구조자금 투입(11월까지 61억 5천만 유로로 늘어나야 한다.) 에 맞서야 한다. IKB의 잠재적인 손실은, 여전히 파악되지 않았으며, 감춰져 있지만, KfW는 주가와 함께 가치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그들의 지분을 살 구매자를 찾는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The persistence of public ownership of 34% of the banking sector (by assets), and an absurd “regional principle” that discourages savings banks from competing on each other's turf—now the subject of a European Commission inquiry—dampens efficiency throughout the industry. German private banks' average cost-income ratios—the share of revenues eaten up by operating costs—are the worst in Europe, according to a recent study by Arthur D. Little, a consultancy (see chart).
은행업분야의 34%에 대한 공공소유를 고집하는 것과 저축은행들을 그들간의 영역을 차지하려는 경쟁을 약화시키는 부조리한 “지역적 원칙”-현재 유럽 공동체 위원회 의 연구주제이다-은 사업의 효율성을 무디게 한다. 컨설턴트인 Arthur D. Little이 최근 연구한 바에 따르면 독일의 사유은행의 비용 대 수입 평균 비율-수입의 몫은 경영비용으로 사라진다-은 유럽 내에서 최악이다.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four biggest German banks would have to cut 20% of their workforce, or around 30,000 people, to make them cost-competitive with market leaders in places such as Spain and Britain. That is not going to happen. Slow-motion consolidation within the publicly owned, mutual and private sectors looks like the most that can be hoped for.
연구는 독일의 4대 거대은행들이 스페인이나 영국의 동종 분야에 있는 시장 선두 기업들과 견주어 비용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그들의 업무를 20% 축소하거나 인원을 30000명 가까이 감축시켜야 한다고 결론 내린다. 하지만 그렇게 돼지는 않을 것이다. 공영화라는 틀 안에서 느린 합병과 상호보험과 사유화 분야는 희망할 수 있는 최대치로 보여진다.
2008. 1. 24.
[Economist] Slow motion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